반응형
포지션을 정확하게 잡게 되면 분할 익절이 가능해지고 분할 익절 후에는 리스크 없이 포지션을 홀딩할 수 있기 때문에 이보다 더 좋은 상황은 없을거라고 생각됨
분할 익절을 언제 해야되는지와 같은 포지션 잡는 방법이 아닌 거래소에서 어떻게 조작해야 분할 익절이 되는지에 관한 내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해당 포스트를 작성하게 됨
- Entry Price: 진입가
- Mark Price: 시장가
- Liq. Price: 청산가
- Close By 부분을 누르면 포지션을 종료할 수 있음
- Limit를 눌러서 지정가로 포지션을 종료할 수 있고
- Market을 눌러서 시장가로 포지션을 바로 종료할 수도 있음
- 익절: Take Profit
- 손절: Stop Loss
손절 익절 설정하는 방법 #1
- 포지션을 잡을 당시 혹은 잡고 나서 TP/SL 버튼으로 자동 익절, 자동 손절을 설정할 수 있음
- 손절 익절 설정을 제거하고 싶으면 위의 표시된 연필 버튼을 누른 후
- 지우개 버튼을 누른 후 confirm 클릭하면 됨
손절 익절 설정하는 방법 #2
- Limit, Market 대신 Conditional을 사용하여 손절 익절을 설정할 수 있음
- 말그대로 '조건부'임
- 원하는 가격대에 도달했을 때 주문이 나가게끔 하는 것임
- Trigger price: 발동 가격
- Order price: 발동 시 주문 가격
- 이는 Market으로 설정하고 사용하는 것이 좋음
- 발동 가격에 도달했을 때 전량이 안털리는 경우가 있음
- TP/SL과 차이점:
- TP/SL을 설정하면 모든 포지션이 종료되지만 Conditional은 수량을 조절할 수 있음
- 또한 불타기도 가능함
- 불타기: 임의 가격에 도달했을 때 포지션 늘리기
- Conditional 선택 후 1. Trigger price 설정 2. Order price 설정 3. Order 량을 설정 4. TP/SL을 체크 표시하고 5. Basic이 아닌 Advanced 옵션으로 클릭해주면 위와 같은 창이 뜸
- 손절/익절 설정은 3가지 옵션을 통해 설정할 수 있음
- Trigger by ROI
- 투자 자본금 기준 수익률 기준으로 익절/손절
- Trigger by Change
- 코인 매입단가 대비 수익률 기준으로 익절/손절
- Trigger by P&L
- 수익 금액 기준 설정(직접 금액 설정 방식)
- P&L: Profit & Loss
- Trigger by ROI
- 포지션 상태창 우측에 보면 Close By 부분을 통해서 부분 익절/손절이 가능함
- Limit 또는 Market을 누르면 위와 같은 창이 뜨는데 포지션의 몇 퍼센트를 익절 / 손절할지 정해서 실현할 수 있음
- Limit은 지정가, Market은 시장가 기준
- 암호화폐의 가격은 수요와 공급의 경제적 프로세스를 통해 결정됨
- 따라서, 현물 시장의 가격은 현물 시장의 모든 거래에 대한 수요와 공급의 결과물임
- 따라서, 거래소마다 가격차이가 존재하게 됨
- 선물시장도 선물시장만의 수요와 공급이 존재하기 때문에 선물 시장과 현물 시장이 별개로 형성됨
- 또한, 거래소별로 선물 시장이 형성되기 때문에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밖에 없음
- 따라서, 대부분의 거래소의 선물 거래에서는 Last Price, Mark Price, Price Index를 제공함
- 이를 제시함으로써 거래소는 트레이더들에게 선물 거래의 공정하고 정확한 가격 책정을 보장하고, 트레이더들에게 안정적인 레퍼런스 가격을 제공함
- 가격을 설정하는 칸에 보이는 Last, Index, Mark의 차이점:
- Last Price:
- 최종 체결가(최종가)
- 가장 최근에 실제로 거래가 체결된 가격임
- 실시간으로 변동되며, 가장 마지막 매수자와 매도자 사이에 거래가 성사된 가격을 말함
- 즉, 시장의 즉각적인 거래활동을 반영한 가격임
- Mark Price:
- 표시가(=시장가 표시)
- 포지션의 실질 가치를 나타내는 공정가격임
- a theoretical price that considers various market factors such as the liquidity of the asset and the trading volume
- an estimate of the actual market value of an underlying asset
- 청산 가격과 PNL(손익) 계산의 기준이 되는 가격임
- 가격 조작을 방지하고 불공정한 청산을 막기위해 사용됨
- 일반적으로 Index Price를 기반으로 하되, 자금조달비용(funding rate)과 같은 요소들을 고려하여 계산됨
- Index Price:
- 지수 가격
- 여러 거래소의 가격을 가중 평균한 기준 가격임
- 여러 거래소에서 Spot(현물) 가격을 평균 내어 구성
- 시장 조작이나 극단적인 변동성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됨
- 주로 청산(liquidation)이나 자동 텔레버리징(ADL)등의 기준가격으로 활용됨
- 단일 거래소의 가격 변동에 덜 민감하게 반응하여 더 안정적임
- Last Price:
- last price vs. mark price
- last price: 해당 거래소 내부의 가격
- mark price: 주요 거래소의 평균 가격
- 일반적으로는 한 거래소 내의 가격으로 거래를 하는 것이 좋지만, 시총이 가벼운 코인의 경우에는 mark price도 고려해봐야 함
- 강제 청산
- 바이비트에서는 롱 또는 숏에 증거금을 투자하고 유지증거금 비율이 0.5%에 가까워지면 강제청산 당함
- 강제청산이란 투자했던 증거금 전부를 잃는 것을 의미함
- 선물 거래의 장점은 가진 돈의 100배도 투자할 수 있다는 것
- 그렇다고 투자에 실패했다고 빚이 생기지는 않고 그대신 강제청산이라는 시스템이 있는것임
- 1) 증거금이 유지증거금(마진)을 만족하지 못 할 경우 강제 청산 -> 증거금 모두를 잃게됨
- 2) 시장가가 강제청산 가격에 도달하면 강제청산됨
- 따라서, 강제 청산을 방지하기 위해서는:
- 적절한 레버리지 비율 사용
- 대략적으로는 10배 레버리지의 경우: 가격이 -10% 하락하면 투자금 전액 손실
- 대략적으로는 5배 레버리지의 경우: 가격이 -20% 하락하면 투자금 전액 손실
- 대략적으로는 3배 레버리지의 경우: 가격이 -33% 하락하면 투자금 전액 손실
- 충분한 증거금 유지
- 스탑로스 주문 활용(손절)
- 시장 변동성 주시
- 적절한 레버리지 비율 사용
- 강제청산 가격 계산 방법:
- 레버리지, 평균 주문가격 및 유지증거금에 비례하여 해당 포지션의 강제청산 가격을 계산함
- 바이비트의 유지증거금의 비율은 0.5%
- 대략적인 레버리지별 강제청산가격: https://m.blog.naver.com/namedcoin/222298554708
- 상황:
- 롱 포지션을 잡았고
- 평단가는 20,000$
- 초기 마진 비율은 2%(0.02)
- 마진 증거금 비율은 0.5%(0.005)
- 펀딩비로 -200$를 지불했음
- 레버리지로 1 BTC를 거래 중
- 청산가 = 평단가 × (1 - 초기마진비율 + 증거금비율) - (펀딩비 / 레버리지적용된코인수량)
- 19,900$ = 20,000$ × (1 - 0.02 + 0.005) - (-200$ / 1 BTC)
- 펀딩비가 음수(-200$)이므로, 청산가에서 나누기를 하면 +200이 되어 청산가가 높아짐
- 현재 예시는 1 BTC라서 계산이 단순하지만, 만약 다른 수량이었다면:
- 예: 0.5 BTC인 경우: -200$ / 0.5 = -400$ → 청산가가 더 많이 올라감
- 예: 2 BTC인 경우: -200$ / 2 = -100$ → 청산가가 덜 올라감
- 결론:
- 펀딩비의 영향은 보유한 코인 수량에 반비례함
- 코인 수량이 적을수록 펀딩비가 청산가에 미치는 영향이 커짐
- 코인 수량이 많을수록 펀딩비가 청산가에 미치는 영향이 작아짐
- 레버리지 적용된 BTC 수량 = (투자금액 × 레버리지) ÷ 진입가격
- 만약 1,000$ 투자하고 20배 레버리지를 사용한다면:
- 투자금액: 1,000$
- 레버리지: 20배
- 진입가격(평단가): 20,000$
- 레버리지 적용된 BTC = (1,000$ × 20) ÷ 20,000$ = 1 BTC
- 같은 투자금에 10배 레버리지를 사용한다면:
- 레버리지 적용된 BTC = (1,000$ × 10) ÷ 20,000$ = 0.5 BTC
- 2,000$ 투자하고 20배 레버리지를 사용한다면:
- 레버리지 적용된 BTC = (2,000$ × 20) ÷ 20,000$ = 2 BTC
- 만약 1,000$ 투자하고 20배 레버리지를 사용한다면:
Reference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bxTXZK9m4uE&t=64s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RBTQXw7N09U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0t9HwQhEWh4
https://contents.premium.naver.com/yonseident/ysdent/contents/240217201815553mz
https://learn.bybit.com/trading/last-price-vs-mark-price-in-futures/
https://m.blog.naver.com/namedcoin/222298554708
https://coinpan.com/futures/346336059
좌절을 경험한 사람은 자신만의 역사를 갖게 된다.
- 쇼펜하우어의 <희망에 대하여> 중에서 -
반응형
'투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코인 투자] 28. 내림롱 & 오름숏 (1) | 2025.02.14 |
---|---|
[코인 투자] 27. 바이비트 단방향 모드 & 헷지 모드 (0) | 2025.02.14 |
[코인 투자] 25. 선물 거래 방법(바이비트) (1) | 2025.02.12 |
[투자 포트폴리오] 2025.02 (#1) (0) | 2025.02.09 |
[코인 투자] 24. 알트코인 vs. 비트코인 (1) | 2025.02.04 |